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구미호3

[중국의 요괴] 몸 빛이 하얗고 등과 머리 위에 뿔이 나 있으며 상서로우며 신비로운 여우 요괴 승황(乘黃) 1. 어원 승황(乘黃)의 어원은 중국 고대 문헌인 **산해경(山海經)**, 구체적으로 **해외서경(海外西經)**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승황’이라는 이름은 한자 ‘乘’(탈 승)과 ‘黃’(노란 황)을 조합한 것으로, 직역하면 “노란 것을 탄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는 승황이 빠르고 신비로운 존재로서 사람을 태우고 하늘을 날거나 장수를 부여하는 상징성을 암시합니다.곽박(郭璞), 산해경의 주석가,는 승황을 **비황(飛黃)**이라고도 불렀으며, 이는 “날아다니는 노란 존재”라는 뜻으로, 그 신속함과 신령스러움을 강조합니다. ‘황’은 중국 문화에서 황금색이나 밝은 빛을 상징하며, 황제(黃帝)와도 연관되어 고귀함과 신성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승황의 이름은 그 자체로 신비로운 힘과 고귀한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습.. 2025. 7. 29.
[중국의 요괴] 머리가 아홉 개인데 꼬리까지 아홉 개인 기괴하기 짝이 없는 여우 농질(蠪侄) 중국의 요괴 농질이 요괴는 구미호와 비슷하기는 하지만머리가 아홉개인 것이 특이하다면 특이합니다.어쩌면 구미호보다 더한 능력의 요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농질: 산해경에 기록된 기괴한 아홉 머리 요괴한국의 요괴 '농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이 기괴한 생명체는 고대 중국의 지리서이자 신화집인 『산해경』에 기록된 상상의 동물입니다. 그 독특한 외형과 습성, 그리고 다른 전설 속 존재들과의 유사성을 통해 농질이 지닌 의미를 깊이 탐구해 보고자 합니다.1. 개요농질은 『산해경』 동산경(東山經) 중 동차이경(東次二經) 파트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입니다. 이 요괴는 폐폐(蜚蜚)라는 또 다른 괴수가 사는 고봉산(高蜂山)에서 남쪽으로 500리 떨어진 부려산(鳧麗山)에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2025. 7. 2.
[한국의 요괴] 대한민국 전승에 나오는 요괴로 여우가 천년을 살면 바로 메구가 된다!! 1. 매구의 정의와 기원 매구(魅狗)는 대한민국 민간전승에 등장하는 요호(여우 요괴)로, 천 년을 산 여우가 변한 존재입니다. 주로 구미호와 혼용하여 사용되는데, 명확한 구분이 존재하지 않아 혼란을 주기도 합니다. 역사적으로 한국 민간설화에서 매구는 '백여우', '불여우', '흑여우', '미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었으며, 지역마다 명칭의 차이가 있습니다.2. 매구의 명칭에 대한 국어사전적 의미 국어사전에서 '매구'는 세 가지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첫째, 천 년 묵은 여우가 변하여 된다는 전설상의 요괴를 가리킵니다.둘째, 풍물놀이에서 꽹과리를 뜻하는 지역 사투리입니다.셋째, 결혼을 중매하는 사람(매파)을 일컫습니다.여기서 요괴 매구는 당연히 첫 번째 의미입니다.3. 매구와 구미호의 혼용과 차이 두.. 2025. 4. 22.
728x90
반응형
LIST